미친독서/한 권의 책

김진경의 미래로부터의 반란

koala초코 2011. 12. 31. 15:00
p43 나와 집사람은 나이키 정품 운동화를 신든 유사 상품인 나이스 운동화를 신든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 하면 자기 정체성의 주된 근거가 머릿속에 든 진보적 이념, 즉 지적 소양에 있다고 믿기 때문이죠. 자기 정체성은 머릿속에 들어 있는 정신으로부터 오는 것이므로, 까짓것 몸에야 좀더 나은 걸 걸치든 좀 덜한 걸 걸치든 별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딸아이는 다릅니다. 딸아이의 의식 구조에서는 몸의 지위가 훨씬 더 높기 때문에 자기 정체성의 주된 근거가 몸에 있습니다. 소비 사회에서 몸의 정체성은 어떤 브랜드를 소비하는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나는 이런저런 브랜드의 운동화와 옷, 장식품을 소비하고 있고, 그런 브랜드를 소비하는 문화를 가진 집단에 속해 있어."가 자기 정체성의 주된 근거가 되는 셈입니다.
 딸아이의 자기 정체성이 여기에 있다면, 나이키 정품 운동화를 신느냐 나이스 운동화와 같은 유사품을 신느냐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됩니다. 나이스 운동화와 같은 유사품을 신고 아이들 앞에 나타나는 것은 "나는 가짜야."하고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지요.


p73 아이들, 특히 남자아이들은 수행 평가 과제를 잘 내지 않습니다. 성적에 반영되는 비율이 높다고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처음에는 담임 교사의 협조를 얻어서 겨우겨우 받아내 보지만, 나중에는 그것도 뜻대로 안 돼서 거의 빌다시피하여 과제물을 받아야 하는 지경에 이릅니다. 그렇게 하는데도 상당수의 아이들은 끝까지 과제물을 내지 않더군요.
 한 번은 하도 답답한 마음이 들어서, 무엇이든 좋으니 너희들이 좋아하는 것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해 보라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성적도 썩 좋지 않은 데다 과제물을 맡아놓고 안 내던 녀석 하나가 500쪽에 가까운 보고서를 작성해서 제출한 것입니다.
 애완견에 관한 보고서였지요. 생물학적 지식에서부터 동물학, 수의학은 물론 애완견의 수출입및 유통 과정, 애완견의 미용, 애완견과 인간의 정서적 교감 등등, 애완견과 관련된 모든 것이 아주 짜임새 있게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거의 우리나라 최고의 전문가 수준이었습니다.
 이제 중학교 2학년인 녀석이 어쩌면 그렇게 훌륭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었는지 믿기지가 않을 지경이었습니다. 나중에 아이를 불러 이것저것 물어 보았더니, 어려운 수의학 지식까지도 술술술 설명을 해냈습니다. 그 아이는 애완견의 마니아였던 것이지요.
 (중략) 자, 여기서 여러분들에게 묻겠습니다. 이 엉뚱한 분야의 전문가인 아이들이 공부를 참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아니면 공부는 안 하고 엉뚱한 짓만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p80 요즘 아이들이 학교 교육에 대해 바라는 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도록 학교가 도와 주었으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p146 우리 세대의 학교 교육에 대한 요구는 학교 교육에서의 성공을 통해 사회, 경제적 신분 상승을 이루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직업도 사회, 경제적 권력과 관련되는 판사나 검사, 고급 공무원, 전문 경영인, 의사 등으로 단조로웠지요.
 요즘 아이들의 학교 교육에 대한 요구는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 수 있도록 학교가 도와 주었으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원하는 직업도 매우 다양하고 구체적입니다.
 이렇게 급격히 변화하는 아이들에게 지금의 학교 교육은 난쟁이를 만드는 작은 통일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의 학교 교육은 여전히 사회, 경제적 신분 상승의 외줄 사다리에서 벗어나 있지를 않으니까요.



이해하기 쉬운 비유, 날카로운 지적 분석에 한국 교육에서 무엇이 문제인지 단번에 이해된다.
고칠 곳이 너무 많아 한숨이 나오지만, 희망을 가져야 희망이 있지 않는가...